초기 창업자나 소규모 사업자는 고객 데이터를 수기로 정리하거나, 엑셀로 관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하지만 데이터가 누락되거나 실수가 발생하면, 고객 관리와 매출 분석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ERP 시스템을 도입하지만,
1인 사업자나 프리랜서에게는 복잡하고 비용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별도의 ERP 없이도 구글폼과 스프레드시트를 연동하여, 고객의 입력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,
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시보드까지 자동 생성되는 업무 구조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비용 없이, 누구나 손쉽게 시작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으로, 반복 업무를 줄이고 체계적인 정보 관리가 가능해집니다.
전체 흐름 개요
우선 구현하고자 하는 전체 자동화 흐름을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[고객 입력 (구글폼)] → [데이터 자동 수집 (스프레드시트)] → [대시보드 자동 반영]
각 단계는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코딩 없이도 구현이 가능하며, 구글에서 제공하는 기본 도구만으로 완성할 수 있습니다.
구글폼 생성 및 설정
1. 폼 생성
- 구글 드라이브에서 새로 만들기 → Google 설문지를 클릭합니다.
- 다음과 같은 항목을 추가합니다.
- 고객명 (단답형)
- 연락처 (단답형)
- 상품명 (드롭다운 또는 단답형)
- 수량 (숫자형)
- 문의사항 (장문형, 선택사항)
2. 응답 시트 자동 연결
- 상단 "응답" 탭으로 이동하여
- 스프레드시트 아이콘을 클릭 → **“새 스프레드시트로 연결”**을 선택하면
구글폼에 입력되는 모든 응답이 실시간으로 시트에 저장됩니다.
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실시간 반영되도록 설정
구글폼에서 연결된 시트에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.
타임스탬프고객명연락처상품명수량문의사항
이 데이터를 가공하여 대시보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요약 시트를 하나 새로 만듭니다.
예시로 “요약정보” 시트를 생성하여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정리합니다.
항목 | 수식 예시 |
오늘 접수된 건수 | =COUNTIF(A2:A, TODAY()) |
누적 총 주문수 | =COUNTA(B2:B) |
가장 많이 주문된 상품 | =INDEX(FILTER(D2:D, D2:D<>""), MODE.MULT(MATCH(D2:D,D2:D,0))) |
총 수량 합계 | =SUM(E2:E) |
대시보드 시트 구성
대시보드 시트를 새로 만들고, 위 요약 시트의 데이터를 불러오는 형식으로 구성합니다.
구분 | 데이터 표시 (요약 시트 참조) |
오늘 접수 건수 | =요약정보!B2 |
누적 고객 수 | =요약정보!B3 |
가장 인기 있는 상품 | =요약정보!B4 |
총 수량 | =요약정보!B5 |
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차트도 함께 구성할 수 있습니다.
- 상품별 주문량 → 막대 그래프
- 시간대별 응답 추이 → 선형 그래프
- 전체 상품 비중 → 원형 차트
시각적으로 구성하면 입력된 데이터의 흐름을 훨씬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자동화 확장 – 이메일 알림 또는 Slack 연동 (선택사항)
데이터 입력이 발생했을 때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싶다면
구글 앱스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자동 알림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예시 코드:
function sendNewEntryAlert() {
var sheet = SpreadsheetApp.getActiveSpreadsheet().getSheetByName("폼 응답 시트명");
var lastRow = sheet.getLastRow();
var data = sheet.getRange(lastRow, 1, 1, 5).getValues()[0];
var emailBody = "새로운 문의가 접수되었습니다.\n\n고객명: " + data[1] + "\n상품명: " + data[3] + "\n수량: " + data[4];
MailApp.sendEmail("your@email.com", "신규 문의 알림", emailBody);
}
이 코드를 붙여넣고 트리거를 설정하면, 폼 응답이 들어올 때마다 자동으로 이메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실전 적용 팁
- 폼 항목은 드롭다운으로 제한하는 것이 데이터 정제에 유리합니다.
- 시트 이름 변경 시 수식 및 스크립트 내 참조 이름도 함께 수정해야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- 보고용 대시보드는 별도 공유 권한 설정을 통해 외부 파트너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.
결론
ERP를 도입하지 않더라도, 구글폼과 스프레드시트를 연동하면
고객의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, 자동으로 가공하여 시각화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이 방법은 기술적인 부담 없이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으며,
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반복 업무를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특히 1인 창업자, 셀러, 강사, 프리랜서와 같은 소규모 비즈니스 운영자에게
효율적이고 현실적인 자동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
지금 당장 구글폼 하나로 나만의 업무 자동화 시스템을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.
'마이크로 ER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객 요청 시 자동 견적서 생성 → PDF 저장 → 자동 회신 메일 시스템 구축하기 (1) | 2025.04.17 |
---|---|
스프레드시트에서 자동 보고서 PDF 생성 및 이메일 자동 발송하는 방법 (0) | 2025.04.17 |
매출·지출·재고 통합 대시보드 만들기 – 스프레드시트로 ERP 리포트 구현하기 (0) | 2025.04.17 |
재고관리 자동화 시트 만들기 – 입출고와 현재고 실시간 추적법 (0) | 2025.04.17 |
ERP 대신 스프레드시트로 운영 자동화하기 – 셀링 작업 템플릿 3종 공개 (0) | 2025.04.17 |